무사 트라오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사 트라오레는 1936년 카예스 지역에서 태어나 프랑스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68년 쿠데타를 통해 말리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국민해방군사위원회를 이끌며 사회주의 경제 정책을 일부 폐지하고, 1974년에는 말리 제2공화국 헌법을 발표했다. 1976년에는 집권 정당인 말리 인민 민주 연합을 설립하고, 1979년 총선에서 99%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1985년 부르키나파소와 전쟁을 벌였으며, 1990년까지 경제 개혁에 대한 불만과 다당제 민주주의 요구가 커지자 개혁을 허용했지만, 1991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그는 1993년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감형되었고, 2002년 사면받았다. 2020년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스 출신 - 알파 우마르 코나레
알파 우마르 코나레는 말리의 정치인으로, 1992년부터 2002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위원장도 역임했다. - 케스 출신 - 부바카르 트라오레 (음악가)
부바카르 트라오레는 말리 출신 음악가로 블루스, 아랍 음악, 말리 전통 음악을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로 1960년대부터 활동, 쿠데타로 침체기를 겪었으나 1990년 첫 앨범으로 국제적 성공을 거두며 월드 뮤직 스타가 되었다. - 말리의 군인 - 아마두 투마니 투레
아마두 투마니 투레는 말리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91년 쿠데타로 정권을 무너뜨리고 과도 정부를 이끌었으며,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인프라 개선 등의 정책을 추진하다 2020년 사망했다. - 말리의 군인 - 아시미 고이타
아시미 고이타는 말리의 군인으로, 2020년과 2021년 쿠데타를 주도하여 과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말리 군사 학교를 졸업하고 말리 내전에 참여했으며, 러시아와 관계를 강화하고 2024년 육군 장군으로 진급했다. - 20세기 말리 사람 - 아마두 투마니 투레
아마두 투마니 투레는 말리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91년 쿠데타로 정권을 무너뜨리고 과도 정부를 이끌었으며,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인프라 개선 등의 정책을 추진하다 2020년 사망했다. - 20세기 말리 사람 - 알파 우마르 코나레
알파 우마르 코나레는 말리의 정치인으로, 1992년부터 2002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위원장도 역임했다.
무사 트라오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무사 트라오레 |
국적 | 말리 |
출생일 | 1936년 9월 25일 |
출생지 | 카예스, 프랑스령 수단 (현재 말리) |
사망일 | 2020년 9월 15일 |
사망지 | 바마코, 말리 |
배우자 | 마리암 트라오레 |
소속 정당 | 군부 (이후 UDPM) |
별칭 | 없음 |
군 경력 | |
복무 | 말리군 |
복무 기간 | 1960년–1991년 |
계급 | 소장 |
참전 | 아가체르 지구 분쟁 투아레그 반란 (1990년~1995년) |
정치 경력 | |
직위 | 말리 대통령 |
대수 | 제2대 |
임기 시작 | 1968년 11월 19일 |
임기 종료 | 1991년 3월 26일 |
이전 대통령 | 모디보 케이타 |
다음 대통령 | 아마두 투마니 투레 |
부통령 | 요로 디아키테 아마두 바바 디아라 |
범죄 정보 | |
유죄 판결 | 약 300명 시위자 사망 사건 |
대상 | 그의 정권에 대한 시위자 |
피해자 | 200명 이상 |
기간 | 1991년 |
형벌 | 사형 (1993년, 1999년) |
수감 장소 | 마르칼라 교도소 |
2. 어린 시절
1936년 10월 15일 프랑스령 수단(현재 말리) 서부 카예스 지역의 세베투 마을에서 태어났다. 카티에 있는 군인 자녀 학교(오늘날 카티 군사 부르타네움)에서 공부한 후, 프랑스 프레쥐스에 있는 육군 사관학교에 진학하여 군사 훈련을 받았고 수석으로 졸업했다.
1968년 11월 19일, 트라오레는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에 참여하여 그를 권좌에서 몰아냈다. 쿠데타 이후 국가 원수 역할을 하는 '국가해방 군사위원회'(Comité militaire de libération nationalefra) 의장이 되어 말리의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다.[3] 그는 모든 정치 활동을 금지했으며, 티에코로 바가요코 대위가 운영하는 경찰 국가 체제를 통해 사회를 통제했다. 정보원들은 군사 통치에 비판적인 학자와 교사들을 감시하는 데 동원되었다. 또한, 이전 모디보 케이타 정권이 추진했던 사회주의 경제 정책의 일부를 폐지했다.
1968년 11월 19일, 트라오레는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에 반대하는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여 정권을 장악했다.[3] 그는 '국가 해방 군사 위원회'(Comité militaire de libération nationalefra) 의장으로서 말리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며, 모든 정치 활동을 금지하고 경찰 국가 체제를 운영했다.[3] 초기에는 모디보 케이타 정권의 사회주의 경제 정책 일부를 폐지했으나, 1972년부터 1973년까지는 심각한 가뭄으로 국가적 어려움을 겪었다.[4]
말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준비하던 1959년에서 1960년 사이에 조국으로 돌아왔다. 1961년 소위로 임관했고, 1963년에는 중위로 진급했다. 이후 탕가니카(이후 잔지바르와 통합하여 탄자니아가 됨)의 해방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군사 교관으로 파견되었다. 귀국 후에는 카티에 있는 군사 연합 학교의 교관으로 활동했다.
3. 군사 쿠데타와 집권 (1968년)
1972년부터 1973년까지 말리는 심각한 가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4] 이 시기 국제 사회로부터 지원받은 원조금이 부당하게 사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1974년, 트라오레는 민정 이양을 명분으로 말리 제2공화국을 위한 새 헌법을 발표했고, 이 헌법은 1978년에 발효되었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조치였을 뿐, 실제로는 군부가 여전히 권력을 유지하는 구조였다. 1976년 9월에는 "비이념적 민주집중제"를 표방하는 말리 인민 민주 연합(Democratic Union of the Malian People영어, UDPM)을 유일 합법 정당으로 창설했다.
1979년 6월, 다른 정당의 참여가 배제된 단일 정당 방식의 총선이 치러졌다. UDPM의 사무총장이었던 트라오레는 단독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99%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6년 임기의 대통령에 당선되었다.[5] 이는 민주적 절차와는 거리가 먼 형식적인 선거였다. UDPM은 정부와 국민을 잇는 유일한 통로로 자리매김했으며, 여성 단체인 Union Nationale des Femmes du Malifra와 청소년 단체인 말리 전국 청년 연합 같은 산하 조직을 만들어 여성과 청소년의 의무적인 가입을 강제했다.
한편, 트라오레는 집권 과정에서 반대 세력을 철저히 탄압했다. 1977년에는 전임 대통령 모디보 케이타가 구금 상태에서 의문스럽게 사망했는데, 그의 장례식에 많은 추모객이 모이자 정부는 폭력적인 체포로 강경하게 대응했다. 1978년 2월 28일에는 쿠데타를 모의했다는 혐의로 티에코로 바가요코와 국방 및 보안 장관 키시마 두카라 등 군부 내 잠재적 경쟁자들을 체포하며 권력 기반을 더욱 공고히 했다. 이러한 강압 통치 속에서도 대외적으로 개방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역사학자 알파 오마르 코나레를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등의 제스처를 취하기도 했다.
4. 통치 기간 (1968년 ~ 1991년)
1974년에는 민정 이양을 명분으로 새 헌법을 발표했지만 군부 통치는 계속되었고, 1976년 유일 정당인 말리 인민 민주 연합(UDPM)을 창설했다. 1979년 단일 정당 선거를 통해 트라오레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5] 이후 1985년에도 단독 후보로 재선되고 연임 제한 규정까지 철폐하며 장기 집권의 기반을 공고히 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여러 정치적 사건들이 발생했다. 1977년 전 대통령 모디보 케이타가 구금 중 의문스럽게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고, 정부는 이에 대한 항의 움직임을 강경하게 진압했다. 1978년에는 쿠데타 모의 혐의로 티에코로 바가요코와 키시마 두카라 등 측근들을 숙청하는 일이 있었다. 1980년에는 학생 시위를 강경 진압하는 과정에서 지도자 압둘 카림 카마라가 고문으로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1982년 군 최고 사령관에 올랐으며, 1988년부터 1989년까지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는 1980년대에 국제 통화 기금(IMF)과 협력하여 시장 자유화 및 국영 기업 개혁 등을 시도했으나,[5] 1990년대 들어 IMF 프로그램에 따른 긴축 정책과 정권의 부패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커졌다.[5] 대외적으로는 1985년 부르키나파소와 국경 분쟁인 아가셰르 지구 전쟁을 치렀다.[6][7]
1990년부터 변호사 문타가 탈이 이끄는 민주적 이니셔티브를 위한 전국 회의(CNID), 알파 오마르 코나레 등이 참여한 말리 민주주의 동맹(ADEMA) 등 민주화 요구 세력의 활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들은 학생 및 인권 단체와 연대하여 트라오레의 독재에 반대하고 다당제 민주주의를 요구했다. 트라오레 정권은 일부 개혁을 허용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말리가 민주주의를 위한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근본적인 민주화 요구는 억압했다.[5] 결국 1991년 3월 22일, 수도 바마코에서 벌어진 대규모 민주화 시위에 대한 유혈 진압 사건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약 150명의 시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8][9] 이 사건은 군부 내 반발을 촉발하여 나흘 뒤인 3월 26일, 아마두 투마니 투레 중령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이어졌다. 트라오레는 이 쿠데타로 축출되어 23년간의 통치의 막을 내렸다.[8][9] 쿠데타 이후 과도 위원회가 구성되어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감독했다.[10]
4. 1. 경제 정책
1968년 말리 쿠데타로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을 축출한 이후, 무사 트라오레 정권은 이전 정부의 사회주의 경제 정책을 부분적으로 폐지했다.[3][4] 그러나 1972년부터 1973년까지 말리는 심각한 가뭄을 겪으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4]
1980년대에 들어서도 경제적 어려움이 계속되자, 정부는 여러 개혁 조치를 단행했다. 곡물 시장을 자유화했으며, 국영 기업 시스템을 개혁하고 민간 기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새로운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국제 통화 기금(IMF)과의 협정을 통해 경제 개혁 프로그램을 추진했다.[5] 이러한 노력 덕분에 1980년대 동안 정치 상황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고, 집권당인 말리 인민 민주 연합(UDPM)은 지방 행정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며 지지 기반을 넓혔다.[5]
하지만 1990년이 되면서 상황은 다시 악화되었다. IMF가 요구한 경제 개혁 프로그램에 따른 긴축 정책은 국민들의 큰 불만을 샀다. 특히 트라오레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이 정작 자신들은 긴축 요구를 이행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정권에 대한 불신과 반발이 커져갔다.[5]
4. 2. 정치 체제
1968년 11월 19일, 무사 트라오레는 1968년 말리 쿠데타에 참여하여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을 축출했다. 그는 말리의 실질적인 국가 원수인 '국가 해방 군사 위원회'(Comité militaire de libération nationalefra)의 의장이 되었고[3], 모든 정치 활동은 금지되었다. 티에코로 바가요코 대위가 운영하는 경찰 국가 체제가 수립되었으며, 정보원들은 군사 통치에 비판적인 학자들과 교사들을 감시했다. 모디보 케이타 정권의 사회주의 경제 정책은 부분적으로 폐지되었다. 1972년부터 1973년까지는 심각한 가뭄이 말리를 덮쳤다.[4]
1974년, 트라오레는 말리 제2공화국을 위한 개정 헌법을 발표했고, 이는 1978년에 발효되었다. 새 헌법은 말리를 문민 통치로 이행시키려는 명목이었지만, 실제로는 군부가 권력을 유지하는 구조였다. 1976년 9월, 군부는 "비 이념적인 민주적 중앙 집권제" 원칙에 따라 조직된 새로운 집권당이자 유일 정당인 말리 인민 민주 연합(UDPM)을 설립했다. 1979년 6월에는 단일 정당 방식의 총선이 치러졌다. UDPM의 사무총장이었던 트라오레는 자동으로 6년 임기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고, 99%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5] UDPM은 정부와 국민 사이의 유일한 소통 창구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었다. 그 산하에는 여성 단체인 '말리 여성 전국 연합'(Union Nationale des Femmes du Malifra)과 청소년 단체인 '말리 전국 청년 연합'(Union Nationale des Jeunes du Malifra)이 있었으며, 여성과 청소년은 이들 단체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했다.
1977년, 전 대통령 모디보 케이타가 구금 중 의문스럽게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정부는 이에 대한 항의 움직임에 폭력적인 체포로 강경하게 대응했다. 1978년 2월 28일, 트라오레는 쿠데타를 모의했다는 혐의로 티에코로 바가요코와 국방 및 보안 장관이었던 키시마 두카라를 체포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다. 한편, 보다 개방적인 정치 제스처를 취하기 위해 역사학자 알파 오마르 코나레를 문화부 장관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에는 학생 시위가 폭력적으로 진압되었고, 시위를 이끌던 압둘 카림 카마라("카브랄")는 고문으로 사망했다. 1982년, 트라오레는 군 최고 사령관 직위에 올랐다. 그는 1988년 5월부터 1989년 7월까지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을 역임했다.
트라오레는 1985년에 다시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그해 말, UDPM이 장악한 의회는 트라오레에게 대통령 연임 제한 규정을 적용하지 않도록 헌법을 개정했다.
1981년과 1982년 동안 정치 상황은 안정되었고, 1980년대 내내 비교적 평온한 상태가 유지되었다. UDPM은 지방 행정 당국의 부당한 행위에 대해 제한적이나마 반대 목소리를 낼 수 있음을 보여주면서 지지 기반을 넓히려 했다. 정부는 말리의 경제적 어려움 해결에 관심을 돌려 곡물 시장 자유화, 국영 기업 시스템 개혁, 민간 기업에 대한 새로운 인센티브 제공, 국제 통화 기금(IMF)과의 협정 체결 등을 추진했다. 그러나 1990년이 되자 IMF의 경제 개혁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긴축 정책에 대한 불만과 함께, 트라오레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은 이러한 긴축 요구를 스스로 지키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말리에서도 다당제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거세졌다. 트라오레 정권은 독립 언론 및 독립 정치 단체의 설립을 포함한 몇 가지 개혁을 허용했지만, 말리가 아직 민주주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본격적인 민주화 요구에는 소극적이었다.[5]
1990년, 변호사 문타가 탈이 주도하여 '민주적 이니셔티브를 위한 전국 회의'(Congrès National d’Initiative démocratiquefra, CNID)가 결성되었고, 압드라만 바바와 역사가 알파 오마르 코나레는 말리 민주주의 동맹(ADEMA)을 창설했다. 이들 단체는 '말리 학생 및 학생 협회'(Association des élèves et étudiants du Malifra, AEEM) 및 '말리 인권 협회'(Association Malienne des Droits de l'Hommefra, AMDH)와 연대하여 무사 트라오레의 독재 통치에 반대하고 다원적인 정치 체제 수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1991년 3월 22일, 수도 바마코 시내에서 벌어진 대규모 민주화 요구 시위는 정부군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고, 이 과정에서 약 150명의 시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혈 진압 사태 나흘 후인 3월 26일, 트라오레의 대통령 경호대 사령관이었던 아마두 투마니 투레 중령이 쿠데타를 일으켜 트라오레를 축출하고 체포했다.[8][9] 투레를 의장으로 하는 '국민 구원을 위한 과도 위원회'(Comité de transition pour le salut du peuplefra)가 구성되어 1년 후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을 감독했다.[10]
4. 3. 인권 탄압
1968년 말리 쿠데타로 모디보 케이타 대통령을 축출하고 집권한 이후, 무사 트라오레 정권 하에서는 인권 상황이 크게 악화되었다. 쿠데타 직후 모든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으며,[3] 티에코로 바가요코 대위가 운영하는 경찰 국가 체제가 수립되었다. 정보원들은 군사 통치에 비판적인 학자들과 교사들을 감시했다.[3]
정권에 비판적인 인사들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다. 1977년에는 전 대통령 모디보 케이타가 구금 중 의문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했으며, 정부는 이에 항의하는 움직임에 폭력적인 체포로 강력하게 대응했다.[4] 또한, 1980년에는 학생 시위가 무력으로 진압되었고, 시위를 주도한 압둘 카림 카마라(별명 "카브랄")는 고문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트라오레의 장기 집권에 대한 반발과 민주화 요구는 1990년대 초반에 이르러 거세졌다. 문타가 탈 변호사가 이끄는 민주적 이니셔티브를 위한 전국 회의(CNID)와 알파 오마르 코나레 등이 결성한 말리 민주주의 동맹(ADEMA)을 비롯하여, 말리 학생 및 학생 협회(AEEM), 말리 인권 협회(AMDH) 등이 트라오레 정권에 반대하며 다당제 민주주의를 요구했다. 트라오레는 일부 개혁을 허용하는 시늉을 했지만, 말리가 민주주의를 위한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근본적인 변화를 거부했다.[5]
결국 1991년 3월 22일, 수도 바마코에서 발생한 대규모 민주화 요구 시위는 군대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고, 이 과정에서 약 150명에 달하는 시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8][9] 이러한 유혈 진압은 군부 내 반발을 불러일으켜 나흘 뒤 아마두 투마니 투레 대령이 주도한 쿠데타로 이어졌고, 트라오레 정권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8][9]
4. 4. 외교 관계
1985년 12월 25일, 말리와 토마스 산카라가 이끄는 부르키나파소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부르키나파소 관리들이 분쟁 중인 국경 지역(아가셰르 지구)에서 인구 조사를 실시하자, 말리군은 크리스마스에 공격을 시작했다. 말리는 부르키나파소보다 군사력이 강했으며, 전쟁이 계속되면서 양국은 게릴라전을 사용하고 서로 습격했다. 이후 1986년 초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전쟁은 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트라오레의 국내 인기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6][7]
트라오레는 국제 무대에서도 활동했는데, 1988년에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하여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회담했다. 또한 1988년 5월부터 1989년 7월까지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을 역임했다.
5. 권좌 축출 (1991년)
1990년, 독재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변호사 문타가 탈은 민주적 이니셔티브를 위한 전국 회의Congrès National d’Initiative démocratique|콩그레 나시오날 디니시아티브 데모크라티크프랑스어 (CNID)를, 압드라만 바바와 역사가 알파 오마르 코나레는 말리 민주주의 동맹Alliance pour la démocratie au Mali|알리앙스 푸르 라 데모크라시 오 말리프랑스어 (ADEMA)을 결성했다. 이들 단체는 ''말리 학생 및 학생 협회''Association des élèves et étudiants du Mali|아소시아시옹 데 젤레브 에 에튀디앙 뒤 말리프랑스어 (AEEM) 및 말리 인권 협회Association Malienne des Droits de l'Homme|아소시아시옹 말리엔 데 드루아 드 로므프랑스어 (AMDH)와 연대하여, 무사 트라오레의 장기 집권에 맞서 다당제 민주주의 도입을 목표로 활동했다.
1991년 3월 22일, 수도 바마코에서 트라오레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평화 시위가 열렸으나, 정권은 이를 무력으로 잔혹하게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약 150명에 달하는 시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유혈 사태는 정권에 대한 반감을 극도로 고조시켰다.
나흘 뒤인 3월 26일, 트라오레의 대통령 경호대 사령관이었던 아마두 투마니 투레 대령이 쿠데타를 일으켜 트라오레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체포했다.[8][9] 쿠데타 이후, 투레를 의장으로 하는 말리 공화국 국민 구원을 위한 과도 위원회가 구성되어 향후 1년간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을 관리 감독하게 되었다.[10]
6. 재판과 사면
1991년 쿠데타로 실각한 후 마르칼라 지역 감옥에 수감된 트라오레는 1993년 2월, 바마코에서 약 300명의 민주화 시위대를 살해한 혐의를 포함한 '정치적 범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11] 그러나 이 사형 선고는 나중에 감형되었다. 1999년에는 통치 기간 동안 35만달러 상당의 돈을 횡령한 '경제 범죄' 혐의로 그의 아내 마리암 트라오레와 함께 다시 사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알파 오마르 코나레는 이 형을 종신형으로 감형했다.
2002년 5월 29일, 퇴임을 얼마 앞둔 코나레 대통령은 국가 화해를 명분으로 트라오레 부부를 사면했는데, 이는 차기 대통령 아마두 투마니 투레가 지지한 입장이었다.[12][13] 한때 멸시받았던 트라오레의 유산은 투레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다소 누그러졌으며, 전 독재자였음에도 비공식적으로 전직 국가 원수로 인정받기도 했다. 많은 전직 지지자들은 쇼겔 마이가가 이끄는 부흥을 위한 애국 운동(Mouvement Patriotique pour le Renouveau프랑스어)에 결집했다. 트라오레와 그의 아내는 건강 악화로 인해 공적인 활동에서 물러났다.[14]
7. 사망
트라오레는 84번째 생일을 열흘 앞둔 2020년 9월 15일 오전 12시 05분, 수도 바마코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15][16] 그의 사망 원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참조
[1]
뉴스
Mali : l'ancien président Moussa Traoré est décédé
https://www.jeuneafr[...]
2020-09-15
[2]
웹사이트
The Complicated Legacy of Moussa Traoré: Unraveling Mali’s Dictator
https://medium.com/@[...]
2024-10-27
[3]
뉴스
Leader of Coup in Mali Takes Over as President
https://www.nytimes.[...]
1968-12-07
[4]
뉴스
African Leaders at Drought Talks
https://www.nytimes.[...]
1973-09-12
[5]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Mali
http://dosfan.lib.ui[...]
Office of Public Communication, Bureau of Public Affairs
1993-04-15
[6]
웹사이트
Sub Saharan Africa Report
https://apps.dtic.mi[...]
1987-01-14
[7]
웹사이트
TR_redirect –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https://discover.dti[...]
2023-07-25
[8]
뉴스
President of Mali Reported Arrested
https://www.nytimes.[...]
1991-03-26
[9]
뉴스
Mali's Dictator Is Overthrown in Coup
https://www.nytimes.[...]
1991-03-27
[10]
서적
Francophone sub-Saharan Africa, 1880-19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1]
웹사이트
Le procès Moussa Traoré
https://www.ina.fr/v[...]
[12]
뉴스
Former Malian president escapes death again
http://news.bbc.co.u[...]
BBC
1999-09-22
[13]
뉴스
New Malian president sworn in
http://news.bbc.co.u[...]
BBC
2002-06-08
[14]
뉴스
Mali ex-ruler rejects pardon
http://news.bbc.co.u[...]
BBC
2002-05-30
[15]
뉴스
Mali: l'ancien président Moussa Traoré est mort
https://www.rfi.fr/f[...]
[16]
뉴스
Mali : l’ancien autocrate Moussa Traoré est mort
https://www.lemonde.[...]
202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